바탕화면 설정을 윈도우10에서 해보는법
반응형
윈도우 설치 후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해두는 일이겠지만, 그 과정을 다 마치고 나면 바탕화면 변경이라는 일이 마지막으로 남게 됩니다. 뭐, 이건 기본 설정을 변경하지 않은 채로 사용하는 분들은 분명히 계시겠지만, 윈도우가 8.0 이상으로 넘어오게 되면서 바탕화면마다 UI 색상이 유동적으로 변경됨에 따라 단순히 배경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꾸라고 강요하는 것은 아니지만, 변경이 매우 쉽기 때문에 마음에 드는 바탕화면 이미지를 찾았다면 윈도우에서 매우 쉽게 접근이 가능한 기본 기능을 통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바탕화면의 배경화면 변경하는법, 윈도우10 기준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방법 설명과 최근들어 자주 보이는 방법을 살짝 언급하겠습니다.
윈도우7과 동일한지는 모르겠으나, 10에서는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클릭을 하면 메뉴가 열리게 되는데, [ 개인 설정 ]에서 변경이 가능합니다.
열면 기본적으로 배경탭에 맞춰져있고,
아래에 있는 [ 찾아보기 ]를 눌러서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로 바꿀 수 있습니다.
할만한 배경이 없다면 [ 단색 ]을 권장합니다.
개인적으로 단색 검정색을 매우매우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뭐, 딱히 큰 이유는 없지만 까만색으로 맞춰두면 아이콘들이 상대적으로 훨씬 부각되기에 보기가 좋습니다.
또한, 단색의 경우에는 명도도 맞출 수 있습니다. 너무 진한 검정색이 싫다면 바를 움직여 바꿀 수 있습니다.